마리암 미르자하니

덤프버전 : r (♥ 0)


[ 20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1936파일:핀란드 국기.svg 라르스 알포르스 | 파일:미국 국기.svg 제시 더글러스
1950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로랑 슈바르츠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아틀레 셀베르그
1954파일:일본 국기.svg 고다이라 구니히코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장피에르 세르
1958파일:영국 국기.svg 클라우스 로스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르네 톰
1962파일:스웨덴 국기.svg 라르스 회르만데르 | 파일:미국 국기.svg 존 밀너
1966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클 아티야 | 파일:미국 국기.svg 폴 코언 |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무국적) |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븐 스메일
1970파일:영국 국기.svg 앨런 베이커 | 파일:일본 국기.svg 히로나카 헤이스케 | 파일:소련 국기.svg 세르게이 노비코프 | 파일:미국 국기.svg 존 톰슨
1974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엔리코 봄비에리 |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멈퍼드
1978파일:벨기에 민간기.svg 피에르 들리뉴 | 파일:미국 국기.svg 찰스 페퍼먼 | 파일:소련 국기.svg 그리고리 마르굴리스 |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얼 퀼런
1982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콘 |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 서스턴 |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야우싱퉁
1986파일:영국 국기.svg 사이먼 도널드슨 | 파일:독일 국기.svg 게르트 팔팅스 |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프리드먼
1990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드린펠트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본 존스 파일:미국 국기.svg 에드워드 위튼 | 파일:일본 국기.svg 모리 시게후미
1994파일:러시아 국기.svg 예핌 젤마노프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피에르루이 리옹 |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장 부르갱 |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크리스토프 요코즈
1998파일:영국 국기.svg 리처드 보처즈 | 파일:영국 국기.svg 윌리엄 티머시 가워스 | 파일:러시아 국기.svg 막심 콘체비치 | 파일:미국 국기.svg 커티스 맥멀런 | 파일:영국 국기.svg 앤드루 와일스(특별상)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 21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2002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랑 라포르그 | 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
2006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오쿤코프 | 파일:러시아 국기.svg 그리고리 페렐만 | 파일:호주 국기.svg 테렌스 타오 | 파일:프랑스 국기.svg 벤델린 베르너
2010파일:러시아 국기.svg 스타니슬라프 스미르노프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엘론 린덴스트라우스 | 파일:베트남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svg 응오바오쩌우 |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드리크 빌라니
2014파일:브라질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르투르 아빌라 | 파일:캐나다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만줄 바르가바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파일:영국 국기.svg 마르틴 하이러 | 파일:이란 국기.svg 마리암 미르자하니
2018파일:이란 국기.svg / 파일:영국 국기.svg 코체르 비르카르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레시오 피갈리 | 파일:독일 국기.svg 페터 숄체 | 파일:호주 국기.svg 악샤이 벤카테슈
2022파일:프랑스 국기.svg 위고 뒤미닐코팽 | 파일:영국 국기.svg 제임스 메이나드 | 파일:미국 국기.svg 준 허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마리나 비아조우스카


파일:1200px-Encyclopædia_Britannica.svg.png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선정 세계의 여성들
[ 펼치기 · 접기 ]
※ 2019년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은 세계사에 이름을 남긴 여성들을 선정했다.
긍정적 영향을 미친 여성들뿐 아니라 '세계사에 족적을 남긴 여성들'을 뽑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인물들 혹은 논란 있는 인물들도 있다.
성인들
성모 마리아예수의 테레사마더 테레사
지도자들
앙겔라 메르켈베나지르 부토예카테리나 2세캐시 프리먼서태후
클레오파트라코라손 아키노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다이애나 스펜서
지우마 호세프에디트 크레송엘레오노르 다키텐엘리너 루스벨트엘리자베스 1세
엘리자베스 2세엘런 존슨 설리프에바 페론골다 메이어그로 할렘 브룬틀란
한나 수호츠카하트셉수트인디라 간디이사벨 1세제니 시플리
줄리아 길라드칼레다 지아킴 캠벨마거릿 대처마리 앙투아네트
메리 로빈슨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미첼 바첼레트미셸 오바마박근혜
잔 다르크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쑹메이링탄수 칠레르테오도라
바이라 비케프레이베르가빅토리아 여왕비그디스 핀보가도티르비올레타 차모로측천무후
잉락 친나왓
발견자들
에이다 러브레이스어밀리아 에어하트바버라 매클린톡캐롤라인 허셜도러시 호지킨
엘리자베스 블랙웰플로렌스 나이팅게일히파티아제인 구달캐서린 존슨
리제 마이트너마거릿 미드마리아 미첼마리 퀴리마리암 미르자하니
레이첼 카슨로잘린드 프랭클린사카자위아발렌티나 테레시코바
예술가들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코코 샤넬도로시아 랭프리다 칼로카라 워커
메리 카사트쿠사마 야요이자하 하디드
사회운동가들
앨리스 워커앤절라 데이비스앤 로이페아얀 히르시 알리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엘프리데 옐리네크그레타 툰베리제인 폰다주디 시카고리마 보위
나오미 클라인루스 베이더 긴즈버그수잔 팔루디타우왁쿨 카르만와리스 디리
말랄라 유사프자이마거릿 생어마리아 몬테소리해리엇 터브먼캐롤리 슈니먼
로자 파크스시린 에바디왕가리 마타이에멀린 팽크허스트글로리아 스타이넘
작가들
에밀리 디킨슨제인 오스틴사포버지니아 울프마거릿 애트우드
가브리엘라 미스트랄헬렌 켈러J. K. 롤링메리 울스턴크래프트무라사키 시키부
시몬 드 보부아르안네 프랑크토니 모리슨
운동선수들
베이브 디드릭슨빌리 진 킹파니 블랑커스쿤재키 조이너커시미아 햄
나디아 코마네치세레나 윌리엄스
퍼포머들
비욘세엘라 피츠제럴드캐서린 헵번마돈나메릴 스트립
미리엄 마케바오프라 윈프리사라 베르나르움 쿨숨
정치인들
에이미 클로버샤바바라 조던캐롤 모즐리 브라운엘리자베스 워런프랜시스 퍼킨스
제럴딘 페라로해티 캐러웨이힐러리 클린턴저넷 랭킨매들린 올브라이트
낸시 펠로시넬리 테일로 로스루스 베이더 긴즈버그셜리 치점빅토리아 우드훌
참정권주의자들
앨리스 폴앨리스 스톤 블랙웰캐리 채프먼 카트크리스타벨 팽크허스트도리아 샤픽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턴프랜시스 하퍼프랜시스 윌러드해리엇 스탠턴 블래치헤르타 아일톤
후다 샤아라위아이다 벨 웰스제인 애덤스줄리아 워드 하우케이트 셰퍼드
루크레티아 모트루시 번스루시 스톤메리 처치 테렐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메이 라이트 슈밀리센트 포셋소저너 트루스수잔 B. 앤서니버지니아 루이자 마이너
출처


마리암 미르자하니
مریم میرزاخانی | Maryam Mirzākhāni
파일:미르자하니.jpg
출생1977년 5월 12일
이란 제국 테헤란
사망2017년 7월 15일 (향년 40세)
미국 캘리포니아 주 팔로 알토
국적
파일:이란 국기.svg

직업수학자, 교수
학력샤리프 대학교 (수학 / 학사)
하버드 대학교 (수학 / 박사)
수상블루멘탈 상 (2009)
새터 상 (2013)
클레이 리서치 상 (2014)
필즈상 (2014)[1]
가족배우자 얀 본드락[2]
자녀 1명
링크공식 사이트

1. 개요
2. 생애
3. 업적
4. 여담



1. 개요[편집]


이란의 수학자 및 필즈상 수상자이다. 최초의 여성 필즈상 수상자인 것으로 유명하다.


2. 생애[편집]


미르자하니는 이란의 테헤란에서 전기기사의 딸로 태어났다. 이란의 영재교육기관 소속의 테헤란 파르자네간 학교를 다니던 그녀는 1994년에 국제 수학 올림피아드에서 금메달을 수상했고, 1995년에는 동 대회에서 만점으로 금메달을 수상했다.

1999년 샤리프 공과대학교에서 수학 학사 학위를 받고 미국으로 건너가 2004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클레이 수학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이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그리고 2008년 부터는 스탠퍼드 대학교 수학과의 교수직을 맡았다.

2014년 서울에서 열린 세계 수학자 대회에서 필즈상[3]을 수상하였다.

2013년에 진단받은 유방암이 악화되어 2016년엔 간과 뼈로 전이되었고, 2017년 7월 15일에 스탠퍼드 대학교 병원에서 사망하였다. # 2020년 4월 20일에 남편 명의로 작성된 추도문이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4]에 기고 되었다.링크


3. 업적[편집]


미르자하니의 2004년 박사학위 논문은 모듈라이 공간의 부피에 관한 공식을 다루었는데, 이 논문에서 에드워드 위튼이 제기한 추측에 관한 새로운 증명을 제시하게 된다.

이후 측지선과 소수 정리의 연관성을 연구하였으며 모듈라이 공간에서 특정한 부피를 계산하고, 그로부터 단순 측지선의 개수에 관한 결과를 도출해냈다. 또한 알렉스 에스킨, 아미르 모하마디와 함께 모듈라이 공간의 측지선들의 행동과 관련된 또다른 동역학 시스템의 이해에 있어서 큰 돌파구를 만들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공로를 인정받아 2014년 필즈상을 수상했다.


4. 여담[편집]


메가스터디 수학강사 현우진스탠포드 재학시절 생활지도교수[5] 였다고 한다. 2014년 서울에서 필즈상을 수상할 때도 연락하여 시상식에 초대하였다고 한다. 해당 내용을 언급한 현우진의 유튜브 영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20:09:53에 나무위키 마리암 미르자하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성 최초이자 중동 최초.[2] 남편은 스탠퍼드 대학교 수학 교수다. #[3] 리만 곡면의 역학·기하학과 모듈라이 공간[4] 여기도 impact factor 달려있는 저널이다.[5] 학부생활에 대해 상담을 하고 식사 자리도 가지며 대학에 적응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